연구 분야에서의 퇴사는 단순한 자리 이동을 넘어 데이터와 노하우의 계승입니다.
실험은 연속성이 생명이고, 작은 변수 하나가 전체 연구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철저한 업무 인수인계는 연구실의 생존과 직결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연구직 종사자를 위한 인수인계서 작성법을 자세히 안내드립니다.
1. 연구직 인수인계서란?
연구직 인수인계서는 실험과 프로젝트의 흐름을 끊기지 않도록,
업무와 실험 관련 지식, 진행 중인 연구의 상태 등을 후임자에게 전달하는 문서입니다.
일반 사무직보다 더 많은 기술적, 윤리적 요소가 포함되어야 하므로, 구조화된 작성이 필요합니다.
2. 꼭 포함해야 할 인수인계 항목
인수인계자 기본 정보 | 소속 연구실, 담당 과제명, 연구 주제, 담당자 연락처 등 |
연구/실험 개요 | 어떤 실험을 맡았는지, 목적 및 배경 요약 |
진행 중인 실험 | 실험 이름, 현재 단계, 실험 조건, 시약/장비 사용 현황 |
실험 프로토콜 | 반복되는 실험의 표준 절차 (SOP), 유의사항, 실패 사례 |
데이터 정리 현황 | 수집된 데이터 위치, 분석 방법, 정리 파일의 경로 등 |
연구윤리 및 보안사항 | IRB 승인 여부, 데이터 보안, 결과 공유 제한 등 |
협업 및 외부연락 | 공동 연구자, 외부 업체 담당자 등 주요 연락망 |
자료 및 문서 위치 | 실험노트, 보고서, PPT, 논문 초안 등이 저장된 경로 |
3. 예시 인수인계 내용 (요약 포맷)
[연구직 인수인계서]
1. 기본 정보
- 이름: 김연구
- 소속: 생명과학부 / 신경재생 연구실
- 담당 프로젝트: 신경줄기세포 분화 연구 (2023-2025 과기부 과제)
2. 주요 실험
- 실험명: 줄기세포의 Nurr1 유전자 발현 조절
- 현재 단계: 유전자 발현분석 단계 진행 중 (RT-PCR 세팅 완료)
3. 실험 프로토콜 요약
- RT-PCR 조건: Annealing 58도 / 35 cycles / GAPDH control
- 시약 정보: Thermo사 SYBR Green, Lot#12345 (냉장보관)
- 장비: BioRad PCR기기 (세팅값은 'Kim Protocol'로 저장됨)
4. 데이터 및 문서
- 실험노트: 연구실 드라이브 > 2024_Kim > LabNote
- 분석 결과: GraphPad 파일 및 엑셀 → ‘Nurr1_Analysis’ 폴더
5. 공동 연구자 및 연락망
- 공동연구자: 이박사님 (중앙대, 이메일 ooo@)
- 시약 공급 업체: 바이오코리아 (박상무, 010-xxxx-xxxx)
4. 인수인계 꿀팁
- 실험 실패 사례도 공유: 실수는 중요한 교훈입니다. 실패했던 조건과 이유를 간단히 메모하세요.
- 문서 위치는 폴더 경로까지 정확히: "드라이브에 있음"보다 research_drive > folder_A > results_2024 처럼 명확하게 써야 합니다.
- 녹음이나 영상도 유용: 실험 장비 사용법이 복잡한 경우, 영상으로 남기는 것도 추천합니다.
- 비공식 팁도 포함: 후임자가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장비 예약 팁, 선호 시간대 등 실질적인 팁도 적어주세요.
5. 퇴사는 끝이 아닌 연결입니다
연구직의 인수인계서는 단순 문서 작성이 아닌, 후임자가 연구를 안정적으로 이어갈 수 있도록 하는 다리 역할입니다.
잘 정리된 인수인계서는 팀의 효율성을 높이고, 본인의 연구 신뢰도를 높이는 중요한 자산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