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직으로 입사를 했다면 논문은 필수입니다.
석사 또는 박사과정을 마쳤다면 논문 읽는 법과 쓰는법을 알고 있겠지만
그렇지 못하고 학부만 마치고 입사한 신입들의 경우 연구 논문을 읽고 분석하는 건 어렵게 느껴질 수 있어요
하지만 몇 가지 단계만 익히면, 누구나 논문의 핵심을 파악하고 제대로 된 분석을 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논문 분석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해드릴게요.
1. 논문의 구성 먼저 이해하자
논문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구조로 되어 있어요:
- Title (제목): 연구의 주제를 압축적으로 보여줍니다.
- Abstract (초록): 전체 내용을 요약한 부분으로, 먼저 읽고 전체 흐름을 파악하세요.
- Introduction (서론): 연구 배경, 목적, 문제제기를 설명합니다.
- Methods (방법): 실험이나 분석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설명해요.
- Results (결과): 실험이나 데이터 분석 결과를 보여줍니다.
- Discussion (논의): 결과에 대한 해석과 의미를 설명합니다.
- Conclusion (결론): 핵심 요약과 향후 연구 방향을 알려줍니다.
이 구조를 알고 나면, 어떤 정보를 어디에서 찾아야 할지 쉽게 감이 옵니다!
2. 초록(Abstract)으로 전체 흐름 파악하기
논문을 읽을 때 처음부터 끝까지 정독할 필요는 없어요.
먼저 초록을 읽고 이 논문이 어떤 연구를 했는지, 결과는 어떤지 큰 틀에서 파악하세요.
초록을 읽고 나서 이런 질문을 던져보세요:
- 어떤 문제를 다루고 있지?
- 연구 목적은 뭐지?
- 어떤 방법을 썼을까?
- 주요 결과는 뭐야?
3. 서론(Introduction)으로 연구 배경 이해하기
서론은 왜 이 연구를 하게 되었는지를 설명하는 부분이에요. 기존 연구와의 차별점,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를 설명하죠.
분석 포인트:
- 연구 동기와 문제 제기를 확인하세요.
- 어떤 이론이나 연구에 기반했는지 체크해보세요.
- 가설이나 연구 질문이 명확한지도 중요해요.
4. 방법(Method)과 결과(Result)를 꼼꼼히 보기
이 두 부분은 연구의 객관적인 핵심입니다.
방법(Method):
- 어떤 도구, 데이터, 분석 기법을 사용했는지 봐야 해요.
- 이 연구가 신뢰할 만한 설계를 가졌는지 판단하는 기준이 됩니다.
결과(Result):
- 표, 그래프, 통계치가 나온다면 제대로 이해하려고 노력해보세요.
- 중요한 건 수치보다 무엇을 의미하는지에요.
5. 논의(Discussion)와 결론(Conclusion) 정리하기
논의에서는 결과에 대한 해석을, 결론에서는 핵심 정리와 연구의 의의를 다룹니다.
분석 팁:
- 연구자가 주장하는 해석이 타당한지 스스로 질문해보세요.
- 한계점이나 향후 연구 방향이 구체적인지도 체크하세요.
6. 비판적 시각으로 생각하기
단순 요약이 아닌 '분석'이라면, 자기 생각이 꼭 들어가야 해요.
예를 들어:
- 이 연구 방법은 적절했나?
- 결론은 과장되거나 일반화된 건 없나?
- 다른 연구 결과와 비교해볼 수 있나?
이런 질문을 던지며 비판적으로 사고하면 진짜 논문 분석이 됩니다.
7. 내 방식대로 정리하기 (리포트 or 블로그 활용)
읽은 내용을 정리해서 내 방식으로 표현해보세요. 아래와 같은 형식으로 쓸 수 있습니다:
🔹 논문 제목:
🔹 연구 목적:
🔹 사용된 방법:
🔹 주요 결과:
🔹 연구의 장점 & 한계:
🔹 내가 느낀 점 or 시사점:
이렇게 정리하면 블로그 글로도 활용할 수 있고, 공부한 내용도 오래 기억됩니다.
마무리하며
논문 분석은 처음엔 어렵지만, 몇 편만 읽다 보면 금방 익숙해져요.
위에서 알려드린 방법대로 하나씩 따라가면 누구나 논문을 제대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것은 끝까지 한편을 마무리 하는것이 중요합니다.
하다보면 쉽게 다가올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