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PI" 그게 뭔가요?

회사에 입사해서 년초가 되면

모든회사에서 준비하는게 있습니다. 

 

바로 각 팀과 개인에 대한 KPI 입니다. 

이제 입사한 초짜 신입들에게는 "KPI가 뭐지?" 라는 생각을 많이 할텐데요

아주아주 쉽고 간단하게 KPI가 무엇인지? 왜 필요한지에 대해 알려드릴께요

 

KPI란 **Key Performance Indicator(핵심 성과 지표)**의 약자로,
조직이나 개인이 목표를 얼마나 잘 달성하고 있는지 측정하는 지표를 말합니다.

 

쉽게 말해, 

------------------------------------------------------------------------------------------

회사가 연말되면 너를 평가할텐데 

1년동안 너가 뭘했는지 나(팀장 or 인사평가 담당자)한테 보여줘봐? 

말로? 아니 구체적이고 객관적인 숫자로 나한테 보여줘야지..

------------------------------------------------------------------------------------------

이것을 알기쉽게 평가할수 있게 만들어 놓은 문서가 KPI입니다. 

 

 

예를 들어,

  • 블로그를 운영 중이라면 ▶ ‘방문자 수’, ‘광고 클릭률’
  • 마케팅 업무라면 ▶ ‘전환율’, ‘구매 수’
    이런 것들이 KPI가 됩니다.

이런 KPI는 그냥 숫자 나열이 아니라, 명확한 목표 달성과 연결되어야 해요.

 

제 전문분야가 연구직이니 연구직을 예로 들어볼께요. 

연구직에서 자주 사용하는 KPI 예시 입니다. 
  1. 연구 목적/분야에 맞게 맞춤 설정
    • 기초 연구냐, 응용/산업연구냐에 따라 지표가 달라질 수 있어요.
  2. 양과 질 균형 고려
    • 단순히 논문 수만 보기보다 IF, 인용 수, 저자 위치(1저자/교신저자) 등도 포함하세요.
  3. 개인 + 팀 단위로도 설정 가능
    • 연구팀의 KPI도 설정해두면 협업 시 유용합니다.

 

 

그럼 신입 연구직 사원에 대한 KPI를 작성해 보겠습니다. 

 

기술 습득 속도 신규 장비, 기술, 분석 툴에 대한 학습 속도 입사 3개월 내 주력 분석 장비 2종 운용 가능
제품/기술 이해도 자사 기술·제품 구조에 대한 이해 입사 1개월 내 제품 구조 설명 가능 (OJT 수료 평가 포함)
과제 기여도 진행 중인 연구 프로젝트에서 담당 역할 수행 비율 공동 프로젝트 내 개인 업무 이행률 90% 이상
R&D 일지 및 실험
기록 관리
연구 내용 기록의 충실도 및 정시 제출 여부 일일 업무 보고서 제출률 100%
보고서 및 발표자료
작성 능력
주간/월간 보고 및 내부 발표자료 작성 수준 월 1건 이상 보고서 제출 및 피드백 반영
문제 해결력 실험 실패, 변수 발생 시 원인 분석 및 개선 제안 월 1건 이상 개선 아이디어 제안
팀 협업 및 커뮤니케이션 선임·타부서와의 협업 태도 및 회의 참여도 회의 참석률 100%, 팀 만족도 평균 4.0/5 이상
품질·규정 준수율 SOP, 품질 기준, 연구 윤리 준수 여부 관련 규정 위반 0건 유지
학습/자격 취득 활동 직무 관련 기술교육, 외부 세미나 참여 6개월 내 외부 세미나 1회 이상 참석 or
사내 테스트 통과
상사 및 선임
피드백 반영도
피드백 수용 및 반복 실수 방지 노력 동일 오류 반복률 10% 이하 유지

 

 

신입 연구직의 경우 KPI는  

업무 적응 중심: 실적보다는 기술 이해, 실험 성공률, 기본 업무 완성도에 초점에 맞추는게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