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잘하는 사람들만 있는 곳? 서버 만지는 사람들? 코딩만 하는 부서?
사실 IT 부서는 회사 내에서 가장 다양한 기술과 실무 경험이 쌓이는 곳입니다.
특히 신입사원이 처음 맡게 되는 일은 의외로 체계적이고, 배울 것도 정말 많아요.
이번 글에서는 IT 부서 신입사원의 하루 업무 루틴과 실무를 디테일하게 알려드립니다.
1. 오전 9시: 시스템 정상 작동 확인 (모니터링)
신입사원은 출근하자마자 가장 먼저 서버 상태, 네트워크 상태, 백업 성공 여부 등을 체크합니다.
- 모니터링 툴(Zabbix, Nagios, PRTG 등) 확인
- 에러 로그 및 CPU 사용률 확인
- 전날 백업 로그 점검
장애 발생 시 담당자에게 즉시 보고하는 것도 중요한 업무예요.
🖥️ 배우는 것: 시스템 모니터링 기본, 리포트 해석, 로그 분석
2. 사내 직원 요청 대응 (IT 헬프데스크)
신입이 가장 많이 하게 되는 일은 바로 사내 구성원들의 기술지원입니다.
- 프린터 오류 해결
- 이메일 계정 초기화
- 윈도우/오피스 설치
- 네트워크 연결 문제 해결
이 과정에서 기술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빠르게 향상됩니다.
☎️ 관련 툴: Jira Service Desk, Freshservice, 자체 문의 시스템
3. 계정 및 권한 관리
신입사원은 보통 계정 생성 및 권한 부여 등의 보안 관련 업무를 보조합니다.
- 신규 입사자 계정 등록 (Active Directory, Google Workspace 등)
- 시스템 접근 권한 조정
- 퇴사자 계정 정리
보안 사고 방지를 위한 중요한 초기 단계 작업입니다.
🔒 중요 키워드: 권한 관리, 인증 시스템, 계정 정책
4. 장비 관리 및 셋업
새로운 노트북이나 모니터, 키보드 같은 IT 장비 세팅도 주요 업무 중 하나입니다.
- 새 장비 OS 설치 및 초기 세팅
- 보안 프로그램 설치
- 자산 태그 및 등록
이 일을 통해 하드웨어 이해도와 IT 자산 관리 능력이 쌓입니다.
📦 활용 툴: IT 자산관리 시스템 (Asset Panda, Snipe-IT 등)
5. 내부 시스템 운영 보조
신입사원은 사내 ERP, 그룹웨어, 메신저 같은 사내 시스템 유지 관리를 맡게 됩니다.
- 권한 오류 수정
- 부서별 요청사항 반영
- 업데이트 테스트
시스템이 잘 돌아가게 하는 숨은 역할을 하게 되는 거죠.
6. 기술 문서 정리 및 업무 매뉴얼 작성
신입이 실무를 하며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매뉴얼 정리도 하게 됩니다.
- “프린터 오류 해결법”
- “ERP 로그인 오류 조치 매뉴얼”
- “신규 입사자 계정 생성 프로세스”
향후 다른 사람도 참고할 수 있는 내부 위키 문서를 만드는 실습입니다.
📁 추천 툴: Confluence, Notion, Google Docs
7. 교육 & 프로젝트 참여
신입은 실무뿐 아니라, 종종 내부 교육이나 소규모 프로젝트에 참여해 성장합니다.
- 보안 교육
- 스크립트 자동화 실습 (Python, Bash 등)
- 웹서버 설정 따라하기 (Apache, Nginx)
중요한 건 작은 프로젝트라도 직접 해보는 경험입니다.
IT 부서 신입사원이 빠르게 성장하려면?
- 기초부터 단단히 하자 – OS, 네트워크, 보안
- 툴에 익숙해지자 – 모니터링, 티켓 시스템, 원격 툴
- 문서화 습관을 들이자 – 나중에 꼭 필요함
- 잘 모르면 물어보자 – 커뮤니케이션도 실력
마무리: 신입이지만 절대 ‘잡일’이 아니다
IT 부서에서 신입사원이 하는 일은 회사의 디지털 기반을 유지하는 핵심 역할입니다.
작은 설정 하나, 간단한 장비 셋업 하나가 회사 전체의 업무 효율성에 영향을 줍니다.
누구보다 빠르게 성장하고 싶은 분이라면, 이 기초 경험을 잘 쌓아보세요.
💬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이나 공유 부탁드립니다! 😊
📢 더 많은 IT 실무 팁이 궁금하다면? 다음 포스팅에서 이어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