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 부서별 실무 용어 총정리 – 직장인이면 꼭 알아야 할 핵심 단어 모음!

회사생활을 처음 시작한 신입사원이든, 다른 부서와 협업이 많은 직장인이든

각 부서에서 쓰는 고유 용어를 잘 모르면 커뮤니케이션이 막히기 쉽습니다.

특히 보고서, 회의, 메일 등 실무에서는 줄임말이나 전문용어가 자주 등장하죠.

이 글에서는 기획, 인사, 회계, 마케팅, 영업, 생산, 연구개발(R&D), 물류 등 핵심 부서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용어를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

 

1. 기획/전략팀에서 자주 쓰는 용어

용어설명
KPI 핵심 성과 지표 (Key Performance Indicator)
ROI 투자 수익률 (Return on Investment)
SWOT 분석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기회(Opportunity), 위협(Threat) 분석
Benchmarking 경쟁사나 우수 사례와의 비교 분석
Roadmap 장기적인 일정 계획 또는 전략 방향
 

기획팀은 전사 전략, 목표 설정, 프로젝트 관리 등 회사의 '방향타' 역할을 합니다.


2. 연구개발팀(R&D)이 쓰는 용어

용어설명
PoC 개념 검증 (Proof of Concept) – 아이디어가 실제로 가능한지 테스트
Prototype 시제품 – 완성 전 기능 확인용 샘플
Validation / Verification 제품 검증 및 성능 확인
DOE 실험 설계 (Design of Experiments)
TRL 기술 성숙도 (Technology Readiness Level)
 

기계·반도체 분야 R&D의 경우 FEA, Yield, Etching, Tape-out 같은 고유 공정 용어도 사용됩니다.


3. 인사팀(HR)에서 많이 쓰는 용어

용어설명
C&B 보상과 복리후생 (Compensation & Benefits)
Onboarding 신입사원 입사 및 적응 과정
Performance Review 연간 성과 평가
Retention Rate 직원 유지율
Succession Plan 후계자 육성 계획
 

인사팀은 사람과 조직을 설계하고, 지원하며, 변화시키는 부서입니다.


4. 재무/회계팀 용어

용어설명
P&L 손익계산서 (Profit & Loss Statement)
BS 재무상태표 (Balance Sheet)
CAPEX / OPEX 자본적 지출 / 운영 비용
Forecast 재무 예측
Closing 결산 마감
 

회계팀은 기업의 돈 흐름과 수익성을 책임지는 ‘숫자의 언어’를 다룹니다.


5. 마케팅팀에서 쓰는 용어

용어설명
CTR / CVR 클릭률 / 전환율
SEO / SEM 검색엔진 최적화 / 검색광고 마케팅
Persona 이상적인 고객 유형 설정
A/B 테스트 두 가지 안 중 더 효과적인 것을 실험
Funnel 고객 여정 단계 (인지 → 고려 → 구매)
 

디지털 마케팅은 데이터 분석, 타겟팅, 콘텐츠 전략이 핵심입니다.


6. 영업팀에서 쓰는 용어

용어설명
Lead 잠재 고객
Pipeline 영업 진행 중인 거래 목록
Quota 매출 목표 할당량
CRM 고객관계관리 시스템
Upselling / Cross-selling 고가 제품 권유 / 관련 상품 추가 판매
 

고객과의 관계 유지, 성사율, 매출 전략이 이 부서의 핵심 키워드입니다.


7. 생산/품질팀에서 사용하는 용어

용어설명
QC / QA 품질 검사 / 품질 보증
Yield 수율 – 정상 제품의 비율
Defect Rate 불량률
SOP 표준작업절차서
Line Balancing 생산 라인 효율 배치
 

효율, 안전, 정확도는 생산 및 품질관리의 핵심입니다.


8. 물류/SCM팀에서 자주 쓰는 용어

용어설명
Lead Time 주문에서 납품까지 걸리는 시간
Inventory Turnover 재고 회전율
3PL 제3자 물류 – 외부 업체 위탁
FIFO / LIFO 선입선출 / 후입선출 재고 방식
Fulfillment 주문 처리 전체 과정
 

공급망의 흐름을 최적화하는 것이 이 부서의 존재 이유입니다.


마무리: 면접 전 요약 정리

📌 면접에서 이런 질문이 나올 수 있어요:

  • “기획팀의 KPI는 어떻게 설정하나요?”
  • “R&D에서 PoC와 Prototype의 차이점은?”
  • “SEO와 SEM의 차이는 뭔가요?”

면접 전에 희망 부서의 실무 용어를 미리 숙지하면, 질문을 정확히 이해하고 실무 이해도와 준비성을 어필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