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가전 무상 방문수거 서비스는 환경부와 한국전자제품자원순환공제조합에서 운영하는 전국 단위의 공공 서비스입니다.
아래에 신청 방법, 절차, 수거 품목, 주의사항을 단계별로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폐가전 무상 수거 서비스란?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던 **폐가전제품(고장났거나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가전제품)**을 집 앞까지 와서 무료로 수거해 가는 서비스입니다.
1단계: 수거 신청 방법
[1] 온라인 신청 (가장 간편함)
▶ 홈페이지: 폐가전제품 배출예약시스템
▶ 회원가입 없이 비회원 신청 가능
▶ 경로:
홈페이지 접속 → 예약 신청 → 개인 정보 입력 → 제품 종류 선택 → 방문 날짜 선택 → 신청 완료
- 홈페이지 접속 후 '수거예약하기' 클릭
- 이용약관 동의 및 개인정보 입력
- 배출 품목 선택 및 수거 희망일 지정
- 예약 내용 확인 후 신청 완료
[2] 전화 신청
▶ 대표번호: 1599-0903
▶ 평일 오전 8시 ~ 오후 6시 접수 가능 (주말·공휴일 휴무)
▶ 상담원이 직접 예약을 도와줍니다.
[3] 모바일 신청
▶ 위 홈페이지를 스마트폰에서도 접속 가능
▶ 별도 앱은 필요 없습니다.
2단계: 수거 가능 품목
구분 품 목 예시 비고
대형 가전 |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TV, 김치냉장고, 건조기 등 | 단 1대만 있어도 수거 가능 |
중형 가전 | 전자레인지, 선풍기, 프린터, 공기청정기 등 | 보통 3대 이상 모아서 신청 |
소형 가전 | 청소기, 밥솥, 토스터기, 믹서기 등 | 5개 이상 모아야 수거 가능 |
특수 품목 | 전기장판, 전기히터, 전기오븐 등 | 품목에 따라 수거 제한 있을 수 있음 |
수거 인원은 1~2명이 방문하며, 가전의 크기에 따라 차량이 배치됩니다.
3단계: 수거 준비 및 주의사항
수거 전 준비사항
- 제품은 전원 코드 분리 후 이동 가능한 상태여야 합니다.
- 냉장고/세탁기는 비워 두시고 물기 제거
- 벽걸이 에어컨은 탈거되어 있어야 수거 가능 (탈거 서비스는 제공하지 않음)
수거 불가능한 경우
- 제품이 완전히 분해된 경우 (예: 냉장고 문 따로, 본체 따로)
- 산업용 또는 상업용 가전제품
- 내부에 음식물, 물, 이물질 등이 남아 있는 경우
4단계: 수거 일정 안내
- 보통 신청 후 3~7일 이내 방문
- 수거일 전날 문자로 안내
- 수거 시간은 일반적으로 오전 9시 ~ 오후 6시 사이 (정확한 시간 지정은 어려움)
추가 팁
상황 처리 방법
에어컨 탈거가 안 됨 | 인근 설치/수리 업체에 문의해 탈거 후 신청 |
단 하나의 소형가전만 있음 | 주민센터나 대형마트 등에 설치된 ‘소형 전자제품 수거함’ 이용 |
폐가구, 침대 등도 함께 처리 | 지자체 대형폐기물 스티커 발급 필요 (무료 수거 대상 아님) |
🔗 공식 채널
- 공식 홈페이지: https://www.15990903.or.kr
- 콜센터 번호: ☎ 1599-0903
- 운영 시간: 평일 오전 8시 ~ 오후 6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