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에 첫 발을 내디딘 신입사원이라면, ‘보고’는 업무 못지않게 중요한 역량입니다.
보고 하나로 신뢰를 얻을 수도 있고, 실수로 불필요한 오해를 살 수도 있죠.
이번 글에서는 신입사원에게 꼭 필요한 보고 요령을 간단하고 실용적으로 정리했습니다.
1. 결론부터 말하자
상사는 바쁩니다. 핵심을 파악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면 집중력을 잃기 쉽죠.
결론 → 이유 → 상세내용 순으로 말하는 것이 보고의 기본입니다.
✅ 예: “OO 프로젝트는 예정대로 진행 중입니다. 다만, 외부 업체의 일정 지연으로 일부 작업이 늦어졌습니다.”
2. 숫자와 팩트를 활용하자
우린 이공계자나요 ^^ 숫자와 팩트로~
애매한 말보다는 구체적인 수치와 사실이 신뢰를 줍니다.
❌ “거의 다 했어요.”
✅ “전체 10개 중 8개 완료했고, 나머지 2개는 오늘 중 마무리 예정입니다.”
3. 말하기 전에 간단히 정리하자
사수나 윗사람 앞에가면 머리속이 하얗게 되서 무슨말을 하는지도 모르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그럴때 간단히 메모를 해서 준비한것을 보고읽으면 좋은 모습으로 보일수도 있고, 실수를 줄일수 있습니다.
항상 어렵고 모르는 용어가 나올때는 보고 전에 머릿속이나 메모장에 간단한 말할 순서나 포인트를 정리해두세요.
당황하지 않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습니다.
4. 보고는 타이밍이 생명
일이 터진 다음에 보고하면 늦습니다.
문제가 생기면 즉시 상사에게 공유하고, 진행 상황도 주기적으로 알리는 것이 좋습니다.
문제가 터지면 수습할 시간이 필요한데 책임질 사람은 1분 1초가 아깝기 때문입니다.
5. 말투는 단정하고 명확하게
보고는 ‘말투’에서도 평가받습니다. 불확실한 표현보다는 단정적이고 논리적인 표현을 사용해보세요.
“제 생각에는…” | “제 판단으로는…” |
“어쩔 수 없이…” | “부득이하게 조치했습니다.” |
“아마도…” | “현재까지 확인된 바로는…” |
6. 상사의 입장에서 생각해보자
상사는 어떤 정보가 궁금할까요?
다음 질문에 답하도록 보고를 준비해보세요.
- 지금 상황은 어떤가?
- 문제는 있는가?
- 지원이 필요한 부분은?
- 다음 계획은?
7. 이메일 보고도 핵심만
이메일 보고 시에는 제목부터 내용을 요약해서 전달하세요.
제목 예시: [보고] 3월 1주차 프로젝트 진행상황 보고_ㅇㅇㅇ
내용 예시:1. 전체 일정: 80% 완료
2. 주요 진척 사항
i) ~~~~
ii) ~~~~3. 이슈 및 요청사항
마무리
신입사원의 보고는 단순한 ‘일 전달’을 넘어서, 조직 내 소통 능력을 보여주는 중요한 기회입니다.
간단하지만 이 7가지 원칙만 잘 기억해도, 보고 스트레스 없이 신뢰받는 신입사원이 될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