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이들이 R&D 부서를 ‘연구만 하는 부서’라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기초 자료 수집부터 실험 보조, 보고서 작성, 제품 개선안 도출까지 다양한 업무를 수행합니다.
아래에서 신입 R&D 사원이 실제로 하는 일과 하루 루틴을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1. 선행자료 조사 및 특허 검색
연구의 시작은 늘 정보 수집입니다.
신입사원이 처음 맡는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업무는 다음과 같습니다:
- 국내외 논문 조사 (PubMed, IEEE, ScienceDirect 등)
- 특허 검색 (WIPS, KIPRIS, Google Patents)
- 시장 내 유사 기술 비교
- 레퍼런스 정리 및 요약 보고서 작성
이 과정에서 기술적 배경 이해와 문헌 해석 능력을 키우게 됩니다.
2. 실험/테스트 보조
연구개발 부서가 물리적 제품이나 시제품을 다루는 경우, 신입은 실험 기획 또는 시험 분석 보조 역할을 수행합니다.
- 실험 프로토콜에 따라 재료 준비
- 실험 장비 세팅 및 정리
- 공정 중 변수 기록
- 실험 데이터 수집 및 엑셀 정리
- 이상 결과 체크 및 리포트
특히 신입은 정확한 기록 습관과 안전 관리 규정을 잘 익혀야 합니다.
3. 기술 문서 및 보고서 작성
신입은 기술 보고서, 결과 요약, 회의자료 등을 자주 작성하게 됩니다.
- 실험 결과 보고서
- 연구 일지 (Lab Note)
- 분기별 R&D 중간 보고
- 특허/논문 초안 보조
이 과정에서 문서화 스킬, PowerPoint 정리 능력도 함께 길러집니다.
4. 제품 개선안 회의 및 브레인스토밍 참여
초반에는 듣는 역할이 많지만, 점차 아이디어 제안이나 기술 검토 참여가 요구됩니다. 예를 들어:
- 기존 제품 성능 개선 아이디어
- 새로운 원재료 또는 공정 제안
- 벤치마킹 기술 비교 발표
신입도 실제 제품 개선 과정에 함께하며 책임감을 갖고 성장할 기회를 얻습니다.
5. 시제품 제작 또는 공정 개발 지원
하드웨어, 기계, 소재 분야라면 시제품(PoC) 제작과 공정 개발의 초기 단계를 맡을 수 있습니다.
- CAD 도면 확인 및 수정 요청
- 3D 프린팅 또는 공정 장비 운용 보조
- 공정 조건별 테스트 계획 수립
특히 산업용 장비나 시뮬레이션 툴을 다루는 기회가 많아, 실무 감각이 빠르게 쌓입니다.
6. 협력 부서 및 외부 업체 커뮤니케이션
신입도 일정 시점부터는 생산팀, 품질관리팀, 외주 협력업체와 소통해야 합니다.
- 부품 사양 요청
- 샘플 제작 일정 조율
- 테스트 결과 피드백 정리
이때 명확한 커뮤니케이션 스킬이 매우 중요합니다.
7. 학회, 세미나, 전시회 자료 준비
R&D 부서는 종종 기술 전시회, 학술 발표 등을 준비합니다. 신입은:
- 자료 PPT 제작 및 번역
- 발표자료 백업 정리
- 기술 포스터 보조 디자인
- 논문 작성 초안 정리
특히 바이오, IT, 소재 분야에서는 **논문 기여자(공저자)**로도 참여할 기회를 가질 수 있습니다.
신입 R&D 사원이 빠르게 성장하려면?
매일 실험일지 or 메모 작성 | 기록력은 연구자에겐 생명입니다. |
논문을 ‘단어’가 아니라 ‘흐름’으로 읽기 | 연구 설계 구조를 익힐 수 있음 |
반복된 테스트도 성실하게 수행 | 작은 차이가 연구 성공의 핵심입니다 |
툴/소프트웨어 배우기 (CAD, GraphPad, Python 등) | 실무 자동화 능력 확보 가능 |
신입이지만 중요한 R&D 인재입니다
R&D 신입사원은 단순한 보조자가 아니라,
연구 방향과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실험자입니다.
지금은 기초적인 업무가 많아도, 이 경험들이 쌓이면
논문 1저자, 특허 출원자, 제품 책임자로의 성장이 가능합니다.